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매스 미디어의 이해 - 미디어와 저널리즘

by 옌PD 2022. 10. 17.
반응형

미디어와 저널리즘

오늘은 방송 저널리즘의 왜곡과 편향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방송 저널리즘에는 관제적 지배구조와 권력의 규제 시스템이 있습니다.
KBS는 이사회(11명) 제청으로 대통령이 사장을 임명하였습니다.
MBC는 방송문화진흥회 이사회(9명)가 사장을 선임하였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추천 또는 임명하는 방통위원은 위원장을 포함한 5명(3:2의 여야 구도)정도 입니다.
즉, 대통령과 여당이 방통위원 다수 선임하며, 방통위가 공영방송 이사회 다수 선임합니다.
그리고 이사회가 공영방송 사장을 선임합니다.
SBS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영향력(허가와 승인)이 있습니다.
YTN은 공기업이 대주주(한전KDN, KT&G, 한국마사회)가 있습니다.
신문은 보수와 진보의 이념 차이에 따른 ‘편향성’이 있으며 방송은 집권세력에 동기화되고 추종하는 ‘정파성’이 있습니다.

 

다음은 자본권력에 예속된 방송저널리즘에 대해서 입니다.
미디어의 생존경쟁 속에 자본의 영향력 확대는 광고·협찬·후원이 됩니다.
광고주 관련 기사는 의도적으로 누락·축소됩니다.
광고주의 입장 대변은 노사대립이 됩니다.
상품 광고성 기사는 ‘생활 밀착형’을 표방하며 기사형 광고(advertorial)입니다.
광고주의 영업활동을 홍보하기도 합니다.
대기업의 분기별 영업실적을 보도하기도 합니다.

 

다음은 ‘내적 통제’로 변형된 방송저널리즘에 대해서 입니다.
저널리스트가 아닌 직장인과 조직원(수습기자)이 있어 위계질서에 따른 조직 문화의 경직성이 있습니다.
출입처 인사, 승진, 특파원과 해외연수의 선발이 경영진의 인사권 통제합니다.
조직 내의 생존경쟁에서 살아남기(명령과 복종관계)로 내재화(internalization)차원의 자기 검열ㅣ 있기도 합니다.
탐사·기획보도 대신 형식적 객관주의 보도를 하여 전문직주의(professionalism)의 약화가 이뤄지기도 합니다.
다음은 ‘시청률 지상주의’가 낳은 왜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뉴스 가치에 앞서 ‘그림이 되는지’의 여부가 중요하기 때문에 말초적 사건 사고의 채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성(性) 관련 아이템처럼 선정적 소재에 대한 집착이 있습니다.
유명 연예인의 상품성에만 주목하기에 깊이 없는 연예뉴스의 양산될 수 있으니 뉴스 가치를 잘 판단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한국 미디어 산업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방송은 재벌·미디어·권력 복합체의 독점체제입니다.
재벌의 정보·문화생산의 지배력(삼성, CJ)이 높습니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이 있습니다.
국영·공영 미디어의 주도(KBS·MBC·EBS·YTN·연합뉴스)가 있습니다.
포털의 정보유통 독점과 자본 축적(NHN)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신문은 ‘사주(社主) 저널리즘’ 체제입니다.
동아(4대), 조선(3대), 중앙·매일경제(2대째)로 신문 소유와 세습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치권력, 자본권력과의 혼맥(婚脈)으로 얽혀져서 언론사의 사주가 있기도 합니다.  :

 

다음으로는 ‘저널리즘’의 변질에 대해서 입니다.
저널리즘의 기능은 공표와 정보제공, 사회적 의제 생산, 논의의 장 제공,  사회통합, 비판과 감시, 교양, 재미와 즐거움입니다.
의도된 뉴스 프레임과 이념적 편향성(보수 vs 진보)이 있습니다.
왜곡, 편향, 침묵에 따른 한국저널리즘의 현실적 위기가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한국 저널리즘의 현실에 대해서 입니다.
언론인의 정보 독점 지위가 해체되었습니다.
디지털 시대 도래로 기존 언론의 정보 독점 지위가 추락하였습니다,
유튜버의 등장으로 제도권 언론인과의 경쟁이 생겼습니다.
기자만 기사를 쓰는 시대가 끝나고 정치인의 SNS 활용, 받아쓰기의 저널리즘이 되었습니다.
디지털 시대의 뉴스 수용자는 곧 뉴스 이용자, 뉴스 소비자라는 말이 되었습니다.
뉴스 생산의 적극적 파트너는 제보 영상과 뉴스의 댓글이 되었습니다. 
웃픈 ‘단독’ 기사의 등장이 있습니다.
무의미한 속보 경쟁으로 ‘한 줄 단독’, ‘시간차 단독’이라는 말이 생겼습니다.
제대로 된 양질의 심층 보도가 절실해졌습니다.
객관 보도의 정석도 있습니다. 
사실 확인과 객관적 방식의 보도 순으로 보도 됩니다.
예를 들어 “사망자는 5명입니다”를  “경찰은 사망자가 5명이라고 발표했다”라고 합니다.
없는 것을 추가하지 않고, 정보 출처를 투명하게 공개합니다.
또한 전문가의 확인을 받고, 남의 글을 베끼지 않습니다.
의문이 해소되지 않은 부분의 의도적 제외는 속임수입니다.
경마식 보도도 있습니다.
선거 보도의 문제점은 “오차 범위 안에서 A후보가 앞서고 있다”면 “접전을 벌이고 있다”, “우열을 가늠하기 어렵다”식으로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관계자 저널리즘도 있습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와 검찰 고위 관계자등의 관계자를 대상으로 하는 저널리즘입니다.
익명의 취재원은 예외적으로 허용해야합니다.
익명 인용의 만연으로 뉴스의 불투명화가 심화되기도 하였습니다.
일부이지만 관계자발 발언을 고의로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다음은 출입처 저널리즘에 대해서 입니다.
기자들이 매일 출근하는 곳을 대상으로 한 저널리즘입니다.
취재원과의 불가근 불가원(不可近 不可遠)이 있습니다.
보도유예(엠바고·Embargo)의 악용도 있습니다.
받아쓰기 - 받아치기 저널리즘이라고도 불립니다.
다음으로는 취재 윤리의 문제에 대해서 입니다.
‘뻗치기’는 취재원을 만나기 위해 집이나 사무실 앞에서 무작정 기다리는 방식이며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습니다.
공익이 우선하지 않는 한 취재 보도 대상의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아야 합니다.
반론권(right of reply, 反論權)은 매스미디어에 의해 피해를 입은 관계자가 해당 미디어에 반론을 게재하거나 방송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리(반론보도청구권)를 의미합니다.
당사자 의견반영 규범은 뉴스의 최대 이해관계자에게 뉴스를 미리 소개하고, 그의 견해를 해당 뉴스에 반영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반론권은 일단 보도가 이뤄진 후 당사자가 요구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버릴 것과 취할 것에 대해서 입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종사자 설문조사(2022. 1) 결과 입니다.
언론계가 가장 버려야 할 10가지는 정파성, 포털 의존, 특권 의식(엘리트주의-계몽의식), 출입처 의존, 받아쓰기 보도, 익명 보도, 광고 의존, 타사 보도 베끼기, 관행적 보도, 선정적 보도입니다.
언론계가 우선 취해야 할 10가지는 독자(시민-고객), 진실 추구, 수익 모델, 취재 분야에 대한 전문성, 직업의식, 취재 윤리, 품격, 디지털, 다양한 관점, 맥락과 과정입니다.

오늘의 결론을 요약해서 말하자면 오늘은 방송저널리즘의 여러 왜곡과 편향된 점들을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디지털 시대가 되면서 바뀌게 된 점이나 문제점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댓글